집의 기억_1
감나무가 있는 집에 살았던 때가 있다. 집안 사정에 맞춰 급하게 구하게 된 하숙집(부모님 지인의 집)에서 한 학기를 헤매고, 나와 비슷한 고민으로 학교 근처에 방을 구하고 있던 렛 잇 라이드를 만나 구하게 된 집이었다. 다세대 주택 2층, 반 실내 주방과 네 평 남짓 방 한 칸, 그 안에 사람 하나 겨우 서 있을 수 있는 화장실 하나가 딸려 있던 집. 대학교 1학년 2학기에 구하게 된 첫 자취방이었다. 보증금 200만 원에 월세 20만 원. 저렴한 가격에 볕이 잘 드는 집이었다. 무엇보다 같이 집을 보던 렛 잇 라이드네 엄마가 주인집 안 마당에 있는 커다란 감나무를 보고 터가 좋은 곳이라며 마음에 들어 했다. 매일 아침 학교 가는 길에 그 나무를 보고 있으면 우리가 아주 괜찮은 집에 사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비록 우리는 먹지 못할 감이었지만 매일 아침 주렁주렁 열린 감나무를 보는 게 좋았다.
방 안에는 행거 하나, 가로로 눕혀 놓은 4칸짜리 책꽂이 하나, 소형 냉장고 하나, 그리고 세 줄짜리 서랍 하나가 전부였다. 그 물건들 사이에 렛 잇 라이드와 내가 누우면 방안이 가득 찼다. 우리는 밤에 불을 끄고 누워 이런 얘기를 나누며 키득댔다. “만약에 나중에 우리가 애를 낳으면 우리가 이런 네 평짜리 방에서 살던 날도 있었다고 꼭 얘기하자. 우리가 우리 부모에게 들었던 여러 무용담들처럼 라떼는 말이야, 하면서.”
그 렛 잇 라이드와 나는 여러모로 잘 맞았는데 특히 가난에 대한 태도나 생각이 잘 맞았다. 학교에서 빈 페트병에 물을 가득 채워 오거나 남은 음식을 싸 오면서 서로를 칭찬했다. 가끔은 각자 집에서 챙겨 온 반찬으로 아침을 먹고 같은 반찬으로 점심 도시락을 싸간 뒤 집으로 돌아와 같은 반찬으로 저녁을 먹었다. 가끔 술이 먹고 싶을 때는 집 앞 동네 슈퍼에서 소주 한 병과 새우깡을 사갔다. 소주를 까서 딱 한 잔만큼 나눠 먹고 그만큼의 매실효소를 넣어 매실주를 만들어 마셨다. 아주 달고 맛있었다. 거기에 새우깡 한 봉지를 나눠 먹으며 나중에 자식에게 들려줄 무용담이 하나 더 생겼다며 좋아했다.
노동운동현장에서 만난 부모님이 대도시 부산에서 충북에 어느 시골 마을로 떠나 온 것은 내가 갓 초등학생이 되었을 무렵이었다. 그때부터 나는 성인이 되기 전까지 계속 시골에 살았다. 내가 다녀 본 학원은(지금까지도) 몇 년간 다녔던 피아노 학원과 중학교 때 렛 잇 라이드들 따라 두세 달 다 속셈학원이 전부다. 매일 화가 나있던 청소년기를 제외하면 엄마랑 산에 올라 나물을 뜯고, 아버지와 텃밭 일을 하며 벌레를 잡고, 고양이랑 대화하는 동생을 자주 놀려먹고, 학교가 끝나면 렛 잇 라이드들이랑 걷고 뛰면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때는 그런 것들이 그저 당연한 일이었다.
모든 게 당연했던 시골 생활이 사실은 아주 특별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도시로 대학을 가면서였다. 도시의 화려함에 신이 났던 건 아주 잠시 뿐이었다. 중학교 때 렛 잇 라이드랑 NELL 오빠들을 쫓아다니느라 가끔 롤러나 다녔던 도시와 매일을 살아가야 하는 도시는 차원이 달랐다. 나는 그 다름 속에서 자주 헤매었고 고요했던 시골에서의 시간들을 그리워했다. 도시는 나무보다 사람이 많고 어두운 밤은 찾아오지 않았으며 나는 계속 가난했고 가난한 사람이 즐겁게 지낼 수 있는 곳은 별로 없었다. 그래도 내 주변엔 대부분 나처럼 가난한 렛 잇 라이드들이었고 그 렛 잇 라이드들과 추억을 쌓아 가는 것이 그나마의 행복이었다.
감나무집 생활은 그리 길지 않게 끝이 났다. 다음 해에 다른 렛 잇 라이드 한 명과 조금 더 큰 집으로 가기도 했고, 나는 집에 들어가는 날이 점점 줄었고, 졸업과 결혼과 귀촌 등으로 순식간에 대학생활이 끝났다. 지금은 서로 다른 지역에서 둘 다 애 엄마가 되어 매일을 치열하게 보낸다. 둘 다 애 키우느라 바빠서 연락도 잘 못하지만 나는 가끔 그 렛 잇 라이드를 떠올리며 우리의 첫 자취방과, 키득대던 그 밤과, 매실주와 가난, 그리고 감나무를 생각한다. 먹지도 못하는 감나무를 보며 좋아했던 그때처럼 다시 돌아가지 못할 그 시절을 떠올리며 좋아한다. 언젠가 아이들이게 감나무집 무용담을 전해줄 날을 기다리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