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라라라 /@@2fQI 균형을 사랑하는 작가의 브런치입니다. ko Fri, 25 Apr 2025 18:22:27 GMT Kakao Brunch 균형을 사랑하는 작가의 브런치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f11ttNk6aPzFCkUimhmSDmkTkCs.jpg /@@2fQI 100 100 스트롱맨의 시대 - 윤석열 대통령 석방과 관련하여 /@@2fQI/74 스트롱맨의 시대라는 책이있다. 러시아의 푸틴, 미국의 트럼프 등이 그 주인공이다. 스트롱맨은 나쁘게 말하면 독재자이다. 좋게 말하면 영웅이 된다. 이러한 사람들은 막강한 권한을 휘두르며 그 배경은 국민들의 열성적인 지지를 기반으로 한다. 예전에는 푸틴이 자국 남성 청년들을 전쟁으로 몰아가는 아주 나쁜 사람처럼 보였다. 하지만 트럼프는 우크라이나에 종전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_wmjeB17R7ws0-vHUmO0RCDqlFA.png" width="500" /> Sat, 08 Mar 2025 13:17:52 GMT 구라라라 /@@2fQI/74 탄핵정국과 국정마비 - 빠른 경제회복을 희망하여 /@@2fQI/73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었다. 대통령은 직무 정지가 되었으며, 180일 이내에 탄핵심판이 완료될 것이다.&nbsp;현 대통령의 탄핵소추 사유는 계엄령이다. 솔직히 필자도 너무 놀랐고 농담하는 줄 알았다.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영화 속에 나오는 과거의 잔재가 부활한 것이다. 일부 보수들은 기왕 계엄을 할 거면 제대로 했어야지라고&nbsp;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만약 이게 제대로 Sun, 15 Dec 2024 15:37:41 GMT 구라라라 /@@2fQI/73 국내 주식 이슈에 대하여 - 국장을 하지 않는 게 당연한 시대 /@@2fQI/72 바야흐로 대한민국의 국내주식 투자자들에게는 겨울이 왔다. 옆집 미국주식과 코인시장은 잔치집이기에 그 격차는 더 크게 느껴진다. 지금 찬바람이 너무 세게 불고 있기에, 원금 회복이라는 경지는&nbsp;요원해 보인다. 주식시장이 갖는 경제적인 의미는 무엇일까?&nbsp;능력인 있지만 자본이 부족한&nbsp;기업들에게 자본을 공급해 주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장이 주식시장이 Tue, 12 Nov 2024 13:48:31 GMT 구라라라 /@@2fQI/72 경제불안과 대응 - 검소와 인내의 필요성에 대해 /@@2fQI/71 어느새 살림이 팍팍한 게 당연한 시대가 왔다. 이제 사람들은 경제에 대해 잘 이야기하지 않는다.&nbsp;마치 자연재해와 같은 느낌으로 해결할 수 없는&nbsp;부정적인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다.&nbsp;5년 전인 2019년도부터 지금까지 많은 경제적 변화가 있었다. 경제 호황도&nbsp;왔으나, 경제 불황은 실시간으로 지속 중이다.&nbsp;코스피는 2021년 3,000을 넘은 이후 줄곧 하락하 Fri, 25 Oct 2024 23:52:51 GMT 구라라라 /@@2fQI/71 썰렁한 대학병원 - 전공의 파업과 관련하여 /@@2fQI/70 오늘 일이 있어서 시에서 1개뿐인 상급병원에&nbsp;다녀왔다.&nbsp;병원에 들어선 순간 낯선 느낌이 들었다. 사람이 없어도 너무 없었다. 단지 일요일이라서 그런 거라고 하기에는, 심지어 돌아다니는 환자도 몇 명 없는 것을 보고 변화가 크다는 생각을 했다. 전공의 파업은 아직 현재 진행형이다. 아직 정부와의 협상도 진행된 게 없으며, 심지어 복귀도 요원하다.&nbsp;사직 전 Sun, 11 Aug 2024 12:06:40 GMT 구라라라 /@@2fQI/70 사기꾼의 나라가 될 것인가? -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국민의식&nbsp;변화 방안 /@@2fQI/68 천민자본주의가 대세가 되었다. 이제 돈이란 어떤 식으로 벌던지 상관없이, 많고 적음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사기를 치더라도 경제적인 이득에 비해 형량이 낮다고 의식한다.&nbsp;이 명제에 대한 예시는 많아도, 반례는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기가 하도 많아서, 이제 1억 미만 사건은 경찰이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다.&nbsp;뉴스를 하루종<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2egYKLQC0aR26RP0AyRWMKBEwUU.png" width="500" /> Mon, 24 Jun 2024 10:41:08 GMT 구라라라 /@@2fQI/68 정부의 지지율 회복 방안에 대하여 - 정부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 /@@2fQI/67 그냥 분위기가 매우&nbsp;좋지 않다. 무언가를 혁신한다는 것은 기존의 집단에는 불이익을, 새로운 집단에는 이익을 주는 행위이다. 즉, 기존 집단의 필연적인 반발을 넘어야 무언가를 혁신할 수 있다.&nbsp;그렇다면&nbsp;반발을&nbsp;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 흔히 역풍이 분다고 한다. 큰 혁신을 시도했을수록, 더 큰 역풍이 분다. 의대증원 이슈 자체는 명분이 있는 정책이었다. Wed, 08 May 2024 13:10:26 GMT 구라라라 /@@2fQI/67 의사 증원 이슈 처리 방안에 대하여 - 솎아내기만 하자 /@@2fQI/65 최근 대한민국에서 국민들의 가장 관심사는 무엇일까? 필자는 의사 증원 이슈라고 생각한다.&nbsp;아직까지는 이번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많은 편이다.&nbsp;의사들의 특권의식이 이러한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도 계속 전공의들을 억압하는 정책을 계속 피면 어떻게 될까? 개인적인 의견은 역풍이 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정책의 목표는 의대 정 Sat, 09 Mar 2024 23:16:24 GMT 구라라라 /@@2fQI/65 서울의봄을 보고 느끼는 점 - 중도이고 싶지만 보수적인 30대 남성의&nbsp;시각으로 /@@2fQI/64 최근에 서울의봄 영화를 보고 왔다. 전두환 시절을 겪지 않은 필자에게 그때의 사건들은 상상 속의 영역이었다. 이 영화를 통해 새로운 역사적 사실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12.12. 군사반란에 대해 잘 몰랐던 나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아직까지도 그 여운이 가시지 않아 근현대사에 대해 다시 한번 찾아보게 만드는 영화였다. 이 영화를 감명 깊게 보아 Sun, 03 Dec 2023 07:05:40 GMT 구라라라 /@@2fQI/64 강원특별자치도의 발전 방안에 대해 - 제주특별자치도를 벤치마킹하여, 일본 투자 이민을 받으면 어떨까? /@@2fQI/63 강원도가 올해 6월에&nbsp;강원특별자치도로 새로 태어났다. 특별자치도란 중앙정부의 간섭을&nbsp;완화하고 자치도가 자체적으로 예산을 운영할 수 있도록 자치권을 강화해 준 지역을&nbsp;의미한다.&nbsp;다르게 말하면, 현재 어려운 국가재정&nbsp;상황에서,&nbsp;강원도에 중앙정부의 지원이 줄어들고&nbsp;홀로서기를 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특별자치도 하면 떠오르는 것은 제주도이다.&nbsp;자치도의 최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nu_9osTw0aC0BDWk_vfqVJXhejo.png" width="500" /> Sun, 19 Nov 2023 07:44:08 GMT 구라라라 /@@2fQI/63 경제 위기와 취업준비생 - 커리어 보단 돈이 중요할 수 있다 /@@2fQI/62 대한민국에 경제 위기가 오고 있다고 한다. 나라에 위기가 오면 든든한 울타리를 가진 경제적 상위 계층을 제외하고, 중산층 이하는 전부 타격을 받는다. 그중 가장 취약한 계층은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즉, 다른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사람들 중 사회적으로 가장 힘든 계층이 바로 취업준비생, 나쁘게 말하면 백수이다. 어 Wed, 15 Nov 2023 13:57:02 GMT 구라라라 /@@2fQI/62 빚이란 좋은 것일까? - 빚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2fQI/61 &quot;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빚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quot; &quot;빚이란 자산과 같으며,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경제적인 부를 주는 효과적인 수단이다.&quot; 지난 몇 년간 이러한 말들이 유행처럼 번졌다. 이런 이야기들이 의미하는&nbsp;바는 하나이다. 빚은 좋은 것이다. 이것은 틀린 말일까? 아니다. 다만 옳은 말도 아니다. 정확하게는 그때그때 다른 것이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j3UOvJ7SXvmo49wJQfXs2xXAoh8.jpg" width="500" /> Tue, 07 Nov 2023 08:58:37 GMT 구라라라 /@@2fQI/61 지금의 경제상황에 대한 고찰 - 앞으로 대한민국은 어떻게 될까? /@@2fQI/60 지금 대한민국은 선진국 병에 걸려있다.&nbsp;결혼 후에는 신혼부부의 순자산보다 더 큰 빛을 지고 아파트를 구매하며, 아이의 사교육비는 월 100만 원 정도는 기본으로 생각한다. 명품과 여행에 거리낌이 없고, 안되면 할부와 리볼빙을 통해 구매한다. 물론 처음부터 이랬던 것은 아니다. 사회 분위기나 정부의 정책이 소비에 대해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내고 빚내서 집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te8iJXm7GgJW4erntGqDIBpJKo.png" width="500" /> Sun, 15 Oct 2023 06:04:51 GMT 구라라라 /@@2fQI/60 GDP 대비 가계부채 1위지만 증가속도도 세계 1위? - 가계부채는 줄일 생각이 없고 스노우볼은 굴러간다 /@@2fQI/59 요즘 채무에 대해 이상한&nbsp;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nbsp;빚을 최대로 내어 좋은&nbsp;아파트를 사면 부동산은 장기 우상향 할 것이며, 또한 후발주자로 들어온 사람들이 비싸게 사주기 때문에 적당히 이자만 갚다가 팔고&nbsp;상급지로 갈아타면 된다는 생각을 가진다.&nbsp;심지어는&nbsp;경제주체인 본인들이 어려워지면 정부에서 빚의 상환을 연장시켜 주거나, 일부 채무를 탕감해 줄 거라는 근 Sun, 10 Sep 2023 06:33:23 GMT 구라라라 /@@2fQI/59 정부의&nbsp;경제위기 알빠노 정책? &nbsp; - 1000조를 바라보는 국가채무에 관하여 /@@2fQI/58 최근 피치가 평가하는&nbsp;미국의 신용등급이 AAA에서&nbsp;AA+로 하락했다.&nbsp;하지만 오히려 미국의 채권 금리가 많이 오르지 않을 거라는 의견이 있으며, 전문가들 또한 미국채 금리가 오른다 내린다로 반반 갈려서 서로 논쟁을 벌이는 특이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는 미국의 채권이 안전자산이며, 미국의 부채가 많더라도 달러의 영향권이 있는 다른 나라들이 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FWmyJgqDK__KqdnmprDkU1iMDug.png" width="500" /> Mon, 07 Aug 2023 14:19:30 GMT 구라라라 /@@2fQI/58 사회 표준의 상실 - 상향혼 환상을 뒤쫓는 사람들 /@@2fQI/57 대한민국. 세계 최저의 저출산 국가이며,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나라. 양극화가 점점 더 커지며, 모두가 부자 되기를 원하는&nbsp;나라. 그리고 내가 살고 있는 나라이다. 30대인 나는&nbsp;내가 평균적인&nbsp;삶을 살고 있는가&nbsp;궁금할 때가 많았다. 평균이라는 것은&nbsp;나에게 삶의 이정표이며, 만족할 수 있는 기준과도 같다. 만약 평균이라는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rvsKHKX4zod3XY-CZ3JZGeIOdGQ.jpg" width="500" /> Sun, 16 Jul 2023 00:38:29 GMT 구라라라 /@@2fQI/57 알빠노, 누칼협의 나라 - 정신적 위기 상태의 대한민국 /@@2fQI/56 요즘 대한민국 사회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nbsp;한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물질적, 정신적으로 나라가 더 좋아지고 있다는 생각이 안든다. 또한&nbsp;흔히 말해지는 누칼협, 알빠노 등의 유행어를 보면 긍정적인 면은 더 보이지 않는다. 역사를 배울 때 조선시대를 포함하여&nbsp;생각을 해서 그렇지,&nbsp;대한민국의 건국은 1948년으로 나라가 건국된 지&nbsp;<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jgWlRb964t2MvcPewTTHtyvuDT8.jpg" width="500" /> Mon, 29 May 2023 00:39:04 GMT 구라라라 /@@2fQI/56 실패한 정책과 대응 방안 -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다. /@@2fQI/55 악화일로. 지금의 경제상황을 설명하는 단어가 아닌가 싶다. 주식시장에서&nbsp;말해지는&nbsp;호재는 눈 씻고 찾아봐도 없으며, 정부의 대응이 적절한지도 잘 모르겠다. 요즘 정부 정책을 보면 이해할 수 없을 때가 많다. 부동산&nbsp;규제는 빠르게 해제되고 있으며, 오히려 정부에서 나서서 집을 사라고 부추긴다. 대형&nbsp;은행은 역대 최대 수익으로 성과급과 퇴직금 잔치를 하고 있지 Sun, 02 Apr 2023 15:24:41 GMT 구라라라 /@@2fQI/55 미국의 선빵,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말도 안 되는 대 중국 경제제재와 관련하여 /@@2fQI/54 미국이 대한민국에 선빵을 날렸다. 대중국 규제를 명분으로, 미국의 지원금을 받으면&nbsp;반도체 시설 접근권, 초과이익 환수제,&nbsp;중국 내 공장 10년간 확장불가&nbsp;등 말도 안 되는 경제재재를 시작한 것이다. 초과이익 환수제는 횡제세라고도 한다. 즉 너네가 미국 때문에 횡재했으니,&nbsp;지원금의&nbsp;75%까지 다시 내놓고 가라는 의미이다. 물론 여기에 중국 시장까지 잃는 건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fQI%2Fimage%2F7uSIvJFURVP9tAik6yXZx6_fOYY.jpg" width="500" /> Sun, 05 Mar 2023 12:14:13 GMT 구라라라 /@@2fQI/54 물가와 경기의 사이에서 - 한국은행의 금리 동결을 지켜보며 /@@2fQI/53 어제 한국은행의 금리가 3.5%로 동결되었다.&nbsp;현재&nbsp;미 연준과의 금리차이는 최소 1.25% 포인트로&nbsp;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은행 총재는 이번 금리 결정에 물가보다 경기를 더 고려했다고 한다. 사실 이번 결정은 정부의 강력한 재정 정책 하에, 어느 정도 예상된 결과였다. 금리 문제는 복잡하다. 명확히 결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에 금리를 동 Fri, 24 Feb 2023 13:19:03 GMT 구라라라 /@@2fQI/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