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유랑단 basic2sic 공채신입, 중고신입, 경력직유투벳 포함 직장생활 10년간 정규직으로만 총 6군데 회사를 다녀본, 부끄러운 유투벳러. 인사,교육업무를 맡아왔고 취업&amp;유투벳에 대한 생각들을 나누고자 함. /@@2nJ4 2016-09-08T01:51:44Z 유투벳 이후 새 회사에서 하지 말아야 할 한가지 /@@2nJ4/105 2025-04-18T05:43:13Z 2025-04-14T13:05:24Z 어려운 관문을 뚫고 드디어 이직을 성공했을 때의 그 기분은 정말 좋겠죠? 전형도 여러가지이고 계속 휴가내고 눈치보면서 면접 참석해왔던 노력들에 대한 보상 같기도 하고, 이전 회사에 무언가 불만이었던 그 요소에서 이제 안녕이라는 해방감도 들기도 할 것 입니다. 그렇지만, 이직 이후에 그런 들뜬 마음과 설렘과는 별개로 주의해야 할 것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gfE_-aaouljG9nrcRm438jmLHis.jpg" width="500" / 인고의 시간, 신입 2~3년차를 위한 위로 /@@2nJ4/100 2025-04-14T13:57:38Z 2025-04-01T11:56:08Z 회사원들 사이에서는 1,3,5년차 홀수 연차가 고비라더라~ n년 주기로 힘든 시기가 온다더라 등등 정설이 많은데요, 제가 생각할 때에는 뭐 직장생활이야 항상 힘들지만 가장 힘든 시기는 입사 2~3차년차의 사원 때가 아닌가 생각을 합니다. 왜냐하면 첫째, 자발성의 제한 회사원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인간이 가장 기분이 나쁘고 심리적으로 무력해지고 답답해질 때는<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PCBMDAj6Ird6TKW8vw3wpp68vgY.jpg" width="500" / (갈수만 있다면) 지주사, 모유투벳, 형님유투벳를 가라?! /@@2nJ4/99 2025-04-14T14:00:33Z 2025-03-16T05:27:42Z 오늘은 취업이나 이직을 할 때, (갈수만 있다면) 지주회사, 모회사, 형님회사를 가야하는 현실적인 이유를 하나 말씀드리고자 짧게 글을 남깁니다. 요즘같이 신입이든 경력이든 채용 시장이 얼어붙어있는 상황에서 회사를 골라간다는 것은 상당히 배부른 소리인 것을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 갈수만 있다면, 선택할 수 만 있다면, 목표를 확실하게 잡고 취업<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N5JvlIHQYpfKdUmJtWYSn8G_9XM.jpg" width="500" / 감정적인 회피형 유투벳 경계하자 /@@2nJ4/98 2025-01-24T22:49:47Z 2024-12-26T00:10:04Z 벌써 1년이 훌쩍 지나가고 있는 연말입니다. 내년 계획을 세우시면서 이직을 목표로 두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저도 사람들에게 종종 이직 관련된 상담을 받아볼 때면 이직을 결심하기 전에 이 부분은 한번쯤 판단을 해봤으면 좋을텐데 하는 생각이 하나 있어 몇 자 적어봅니다. 바로, &ldquo;지금 회사가 싫은 것인가? 그냥 일하기가 싫은 것인가?&rdquo; 입니다. 개인적으<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6E8gnKeRJjS-1Ax009HCXMipUzM.png" width="500" / 유투벳 장점과 단점(장단점)이 궁금하다면 /@@2nJ4/97 2025-04-14T13:15:40Z 2024-11-29T07:59:16Z 오늘은 제가 종사하는 HRD직무 이야기를 오랜만에 꺼내볼까 합니다. 10년정도 여러 회사를 거치면서 해당 직무에 종사하면서 느낀 HRD직무의 장단점에 대해서 몇 자 적어볼까하는데요, 이 분야를 희망하시는 취준생들이나 이길이 맞나 고민하는 현직자분들께 작게나마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장점부터 적어보겠습니다. 1. 인적 네트워크 많아진다. H<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njWncvvEMb1RL1IiLftNqmeYMGo.png" width="500" / 사범대생도 취업을? - 임용고시와 다른 길 /@@2nJ4/96 2024-10-27T11:19:20Z 2024-10-12T06:46:51Z 사범대생 하면 흔히 교직, 중/고등학교 선생님이 되는 것으로 많이들 알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틀린 말은 아닙니다. 특수목적대힉인만큼 임용고시를 준비하여 선생님이 되는 졸업생들이 대다수인 것이 사실이고 정상적입니다. 다만, 세상 모든 졸업생이 100% 자신의 전공을 살려서 직장을 구하는 것이 아닌 것처럼 사범대생들도 취업을 하여 사기업에서 근무를 할 수도<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TtFTagCMYB9Fkyoh2qaeI4F_r0k.jpg" width="500" / 당신은 유투벳에 어울리는 성향입니까? /@@2nJ4/95 2024-09-28T15:38:56Z 2024-09-19T03:10:15Z 이직이 활발해지고 있는 시대이지만서도 한편으로 이직을 하지 않고 한 회사에서만 오랫동안 정착하며 회사생활을 하는 직장인들도 많이 있습니다. 아니, 숫자적으로 비율로 보면 아무리 이직을 하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하더라도 한 회사에 있는 사람들이 더 많을 지도 모릅니다. 제 주변을 보아도 저처럼 이직을 활발히 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한 회사에서 장기 근속을 하<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Waeu2xMl53G3QfCmCi8wxFsiyxw.jpg" width="500" / 유투벳이 어려운 유형 5가지 /@@2nJ4/94 2024-09-02T13:40:16Z 2024-08-01T12:21:52Z 이직이 맘처럼 수월하게 척척척 이루어지면 참 좋겠지만 세상 이치가 늘 그러하지는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거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내가 처한 상황에 따라서 이직 하기에 지금 어려운 상태, 이직의 확률이 성공적으로 좀 낮은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생각하기에 이직이 어려울 수 있는 케이스에 대해서 몇 가지 작성을 해보<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m7mdZpFXdaxTKQTVmM7NZO5-eCA.jpg" width="500" / 취업, 유투벳시 전/현직자 코멘트 걸러서 보기 /@@2nJ4/92 2024-11-30T05:34:35Z 2024-07-01T08:55:27Z 오늘은 취업/이직 시에 많이들 참고하시는 대표적인 플랫폼인 블라인드와 잡플래닛 등에 올라와있는 전/현직자들의 글들 중에서 걸러서 들어야 할 3가지를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사실 이런 채널에는 많은 유용한 정보들을 간접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어서 좋은 장점이 있는데요 너무 있는 그대로 정보를 받아들이기보다는 한번더 검증을 해보거나 체크를 해볼만한 내용들도 있<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RVvtgMONtz4WP0sNmIDJcP8cyJc.jpg" width="500" / 퍼블리 콘텐츠 두번째, 세번째 발행! 경력직 셀프온보딩 /@@2nJ4/93 2024-06-29T10:01:30Z 2024-06-21T04:15:10Z 1년10개월만에 퍼블리에 두번째, 세번째 콘텐츠를 발행했습니다. 출간도서 &lt;베이직이직&gt;에서 경력직 이직 이후에 대한 팁들을 한챕터로 쓴 적이 있는데, 그걸 디벨롭하고 좀더 심화해서 새롭게 기고를 하고 멋지게 퍼블리에서 피드백을 주시면서 두달정도에 걸쳐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글이 길어져서 두 편으로 나누어 발행하는 제안을 주셔서 뜻밖에 두번째, 세번째 <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jpg/?fname=https%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qKhe6uSrx61LfA3dnbG_DLaC4mk" width="500" / (졸업 후) 공백기 어떻게 극복하면 좋을까? /@@2nJ4/89 2024-09-20T06:53:22Z 2024-05-31T15:02:02Z 취업이나 이직 준비를 할 때, 경력 단절 구간 즉 공백기가 생길 때가 가장 좋지 않고 합격 확률이 낮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아무래도 기업입장에서는 실무감각이 살아있는 상태의 후보자를 뽑고 싶고, 최신의 지식상태가 충만한 상태의 지원자를 뽑아야 바로 업무에 투입하고 최대한 빠르게 적응하면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보장될 수 있<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KnWsnkaS0oFcdoezMFIRtb-aCbE.jpg" width="500" / HRD 유투벳 시 괜찮은 회사인지 알아보려면? /@@2nJ4/90 2024-05-18T14:34:21Z 2024-05-06T07:39:58Z 제가 몸담고 있는 HRD 직무에서 이직을 할 때 이 회사가 괜찮을 회사일까? 좋은 회사일까? 를 판단하기가 어려울 때 하나의 기준점을 삼을만한 팁을 하나 짧게 드리기 위해 글을 써봅니다. 그동안 HRD 직무로만 여러 대기업을 거치면서 이직 경험을 해보니 일반적으로 나오는 블라인드, 잡플래닛 등에서 나오는 회사 규모, 연봉 정보, 회사분위기 등 외에 이것을 <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cVoeIBCHmy7kQVceaG6ToQKASXk.jpg" width="500" / 계약직 입사, 할까? 말까? /@@2nJ4/91 2024-07-03T10:44:39Z 2024-04-26T09:00:49Z 오늘은 계약직 입사에 대한 이야기로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외국처럼 고용유연성이 저변화되지 않고 경직되어 있다보니 취업에 있어 계약직보다는 정규직을 더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계약직으로 합격했을 경우 사람마다 다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안돼! 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저는 선택할 수 있다면 개인적으로 가급적 안 가는 것이 좋<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kCR2uS6NrWygVP4v_9qBqygHcDA.jpg" width="500" / 연봉협상 시 자칫 놓칠 수 있는 이것!을 기억하세요 /@@2nJ4/88 2024-04-07T02:32:47Z 2024-03-31T16:20:53Z 오늘은 이직 시 연봉협상을 할 때 알아두어야 할, 놓치기 쉬운 한가지를 짧게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저도 연봉협상에 대한 글은 예전 글에 써놓은 적도 있고 요즘은 연봉협상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팁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요, 여러 글들을 찾아봐도 이것! 에 대한 이야기는 은근히 많이 없더라구요. 바로 다음 직급의 연봉을 같이 확인하라! 입니다. 대부<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aVzwv9Eu-5UDPJEmQ6M7fEWGXUU.jpg" width="500" / 유투벳 첫 해 6개월 만에 A를 받다니, 두 회사에서나 - 편견을 감내하라 /@@2nJ4/87 2025-04-14T13:19:23Z 2024-03-03T01:56:41Z ※자랑하나 하자면, 이 글을 최초 작성했던 그 다음해에는 S도 받았답니다^-^ 주로 깔아주는(?) 암묵적 분위기 속에서의 사원 시절을 제외하고는 그래도 그 후에는 이직을 할 때마다 그 회사에서 6개월 밖에 안된 시점이었지만 감사하게도 인사고과에서 A를 받았었고, 또 그다음 회사에서 이직을 했을 때에도 6개월 만에 A를 받고, 이듬해에도 또 A를 받았었습니<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oDz_egfkyEOl6XWvGIsM15pUFCA.jpg" width="500" / 첫 직장이 중요하다? 이젠 두번째 직장이 중요하다! - 단, 여전히 첫 직무는 중요하다! /@@2nJ4/86 2024-06-29T09:09:14Z 2024-03-01T01:14:26Z 과거에 취업 준비생들이라면 한번쯤 취업한 선배들로부터 한번쯤은 들어봤을 이야기가 있습니다. &ldquo;첫 직장이 중요하다&rdquo; 라는 말이죠. 첫 직장을 어떻게 잡느냐가 인생에 있어 향후 어떤 길을 가더라도 큰 영향을 미치고 따라다닌다는 점 때문에 묻지마식 지원보다는 신중하게 정말 가고 싶은 회사만 잘 골라서 써야한다는 말들이 많이 돌았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어느정도<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_6yrTgLFlzJjnLEjCg97dDlJvww.jpg" width="500" / HRD 유투벳 준비중이라면 주목해야할 최근 요구사항은? - 조직문화 담당 경험 /@@2nJ4/85 2024-02-25T06:22:06Z 2024-02-04T09:52:29Z HRD 직무로 이직을 하기 위해서는 최근 HRD 경력직 모집에 필요한 요구사항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파악을 하고 있어야할테요, HRD 이직을 거듭 해오면서 제가 한창 이직을 알아보던 시기와 최근과 비교를 하면 확연하게 늘어난 항목이 하나 있습니다. 3~7년차 주니어 직급에 대한 공고든, 7~15년차 시니어 직급에 대한 공고든 동일하게 JD에서 많이 <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wpJWARCWvfg1x1ZWwMsLWBtgfoQ.png" width="500" / 초급 유투벳 담당자, 사내 교육을 새롭게 바꾸고 싶다면 - 경력기술서를 풍부하게 만들기 위한 초급 유투벳 담당자에게 전하는 팁 /@@2nJ4/84 2024-02-07T01:45:58Z 2024-01-28T11:09:20Z 지난번 HRD담당자로서의 커리어에 대해 글을 써본 적이 있었는데요, 만약 이직을 생각하고 있는 HRD 담당자가 있다면, 경력기술서를 풍부하게 만들어서 교육 기획에 대한 사례를 높여 이직을 위한 발판으로 마련하기 위해서 완성도 높은 교육을 만들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부단히 노력하고 있을 것입니다. 특히 그 중&nbsp;HRD담당자들이 자주 하는 고민중에 하나는 <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izQRhNRKhTklHxPAdYiE_drUi68.jpg" width="500" / 유투벳 커리어 패스 어떤 길이 좋을까(후속편) - HRM? 유투벳? 어떻게? 어디로? /@@2nJ4/83 2024-03-03T00:48:33Z 2023-12-09T04:47:24Z 지난번 글에서 제가 회사에서 담당하고 있는 직무인 HRD 커리어 패스에 대해서 글을 한번 쓴 적이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HRD담당자는 교육운영 &rarr; 교육기획 &rarr; 교육체계수립 의 역할 확장을 통해서 경력을 쌓아가는데, 그 후에 시니어가 되었을 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HRDer 로서의 커리어로는 어떤 영역이 있을까에 대한 개인적인 고민을 기반으로 작성을 해<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VJeARfCTzvzuTOnvhme2JOZBbds.jpg" width="500" / 연봉 순위는 대기업 순위와 일치하지 않는다 - 유투벳 통한 연봉 상승에 가장 중요한 숨은 비밀? /@@2nJ4/82 2024-05-21T10:23:49Z 2023-12-01T08:31:41Z 여러 사람들의 이직 사유중 하나가 연봉 상승에 있다는 조사는 이미 너무나도 많죠? 대부분 공감하실 거십니다. 실제로 이직을 통해서 많은 분들이 연봉을 높여서 가기도 합니다. 이미 오래전 브런치와 제 출간도서에 연봉 협상에 대한 팁들은 기술을 한 바가 있기도 한데요, 오늘은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는 것에 숨겨진 비밀이 있다는 것을 한가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img src= "https://img1.유투벳.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유투벳.net%2Fbrunch%2Fservice%2Fuser%2F2nJ4%2Fimage%2FF-L50zniFbVsJUfg0AY37GXBlj8.jpg" width="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