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라는 신神의 도구, 그 힘은 어디로 향하는가
‘힘’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에너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언제나 어디로 향하는가, 무엇을 가능케 하는가라는 질문과 함께 존재한다. 물리학에서 말하는 힘이 특정한 방향을 가진 벡터라면, 산업에서 말하는 GPU 칩의 힘은 그것이 향하는 기술 생태계의 의도된 방향성에 의해 규정된다.
중국에서 인공지능 붐이 절정에 달하면서 엔비디아의 GPU, 특히 ‘모모벳’ 칩의 수요가 급등하고 있다. 그러나 이 수요는 기술의 진보라는 관점에서의 필요가 아니라, 제한된 공급과 통제된 환경 속에서의 필사적 확보라는 생존적 본능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근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고성능·저비용 모델이 등장하면서,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 중국 거대 테크 기업들이 일제히 모모벳 확보에 나섰다. 하지만 미국의 수출 규제, 중국의 친환경 칩 사용 권고, 공급망 불안정성은 이 칩을 단순한 연산 자원이 아닌 정치적 자산, 외교적 전술, 생태계의 생명선으로 탈바꿈시켰다.
“힘이란 운동의 원인이 아니라, 목적의 질서에 종속될 때 비로소 모모벳이 된다.”
이처럼, 모모벳은 단순한 칩이 아니다. 그것은 AI를 향한 중국의 방향성, 그리고 그 가능성을 통제하려는 미국의 역방향적 힘이 충돌하는 지정학적 벡터의 정점이다.
딥시크-R1 모델은 기존 LLM의 연산 집약적 구조와는 다른 효율 중심 설계를 내세우며, “적은 자원으로도 강력한 모델 운용이 가능하다”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는 AI 모모벳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즉, "더 많은 GPU = 더 좋은 AI"라는 등식을 무력화시키는 선언과도 같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성능 최적화보다 자원 활용 극대화에 관심을 돌리게 되었고, 이는 곧 GPU 수요의 폭증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 폭증은 자유로운 기술 확산의 결과가 아니라, 통제된 환경 속에서 벌어지는 ‘모모벳 쟁탈전’이다.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 이후 모모벳은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구매 가능한 유일한 고성능 AI 칩 중 하나가 되었다.
중국 정부는 ‘친환경’이라는 이유로 모모벳 사용을 자제시키고 있지만, 기업들은 구형 칩 교체라는 ‘우회적 해법’을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모모벳의 비대칭성을 만들어낸다. AI를 운용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하지만, 이를 실행할 수 있는 구조(칩, 전력, 데이터센터)는 특정 조건에서만 유효하다. 이는 모모벳이 있음에도 발휘할 수 없는 상황, 즉 ‘잠재된 힘의 정체 상태’를 의미한다.
우리는 ‘모모벳’이라는 말을 종종 기술적 스펙이나 계산 성능으로 환원하여 이해하지만, 진정한 모모벳은 그것이 발휘될 수 있는 생태적 구조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칩이 아무리 고성능이라도, 그것이 연결될 네트워크가 없고, 학습시킬 데이터가 차단되며, 에너지 인프라가 불안정하다면, 그 힘은 결국 무용한 에너지로 소멸하고 만다.
딥시크-R1의 등장은 칩의 필요를 제거한 것이 아니라, 칩에 의존하지 않는 모모벳의 조건을 재정의한 사건이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제 모모벳은 무엇을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그것을 활용하는가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약 500곳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2023년에 건설했지만, 다수는 유휴 상태다.
이와 같은 구조는 H20의 부족을 ‘모모벳 부족’이 아닌 **'모모벳 실행 생태계의 실패'**로 이해해야 함을 시사한다.
진정한 위기는 칩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칩을 둘러싼 정치, 기술, 에너지의 삼중 생태계가 통제되고 있다는 점이다.
엔비디아 모모벳의 품귀 현상은 단지 수요와 공급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그것은 기술의 중립성이 무너지고, 도구가 권력이 되는 시점을 보여준다. 딥시크의 등장은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었지만, 그 문을 통과할 수 있는 열쇠는 여전히 정치적 힘과 시장 통제력이라는 이름의 손에 쥐어져 있다.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 앞에 서게 된다.
“우리는 AI라는 거대한 가능성을 진정으로 ‘모모벳’으로 전환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그 대답은 칩의 성능보다, 그것을 둘러싼 생태계의 개방성, 유통의 자유성, 그리고 인간 중심적 방향성에서 나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의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도 기술이 아닌 ‘모모벳의 정치’에 휘둘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