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ilbreak
"Innovation is taking two things that already exist and putting them together in a new way." (Tom Freston)
창업 후 3개월 내 매출이 찍히지 않는 비트코인카지노은 버린다고 했다.
작년 말 트레바리 마지막 모임이 있었다.
참석자가 몇 명 되지 않아 책 외의 내용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난 클럽장이었던 박지웅대표께 물었다.
"처음에 왜 회사를 창업하셨어요?"
생각을 정리하며 한참을 뜸을 들인 후 그는 입을 열었다.
"회사를 여러 개 만들어 보고 싶었어요.
패스트트랙아시아는 Company Builder로 만든 회사입니다.
회사를 여러 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명확한 기준을 세웠습니다.
'설립 후 3개월 내에 매출 1억 가능한 것만 한다.'
그러다 보니 투자받아 수년간 기술 개발하는 비트코인카지노은 할 수 없었습니다.
가장 확실한 건 이미 검증된 모델이었어요.
다른 나라에서 검증이 되었는데 국내에는 아직 없는 비트코인카지노, 그런 게 가장 확실했습니다.
패스트파이브가 그랬어요.
WeWork이 비트코인카지노모델을 이미 검증했기 때문에 우리는 실행하기만 하면 됐었습니다.
처음엔차별화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차별화 아이디어를 내면 낼수록 어설퍼진다고 생각했어요.
가구 사이즈와 배치, 복도 폭 등 아주 사소한 것까지 철저히 따라 했어요.
수년간 비트코인카지노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 기반 결정이었을 테니 그게 가장 확실했습니다.
2년 후 WeWork이 한국에 들어왔는데
다행히 우리도 자리를 잡을 수 있었고그제야 차별화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실제 비트코인카지노에서 쌓인 경험과 데이터로뭘 어떻게 차별화할지도 알게 되었어요.
그때부턴 경쟁이었으니까요."
신선했다.
내가 경험해 온 스타트업 씬에서는 전통적으로 Zero to 비트코인카지노을 신봉해 왔다.
다들 세상에 없던 걸 만들어 지구에 흠집을 내겠다고 이야기했다.
Zero to 비트코인카지노이 대단한 건 어렵기 때문이다.
길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건 마치 아무도 걸은 적 없는 눈 덮인산 길과 같아서
내가 오롯이 위험을 감수하고 발걸음을 내딛으며 길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을 앞으로 굴리려면
아무리 어려워도 누군가는 그 일을 해내야 한다.
단 한 번뿐인 그 창조의 순간을 만들어 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최초로 뭔가를 창조해 낸창업가들을 높게 평가한다.
그런데 박지웅대표는달랐다. 아니 오히려 반대였다.
Zero to 비트코인카지노도 중요하지만 그건 자기가 잘할 수 없는 거라고 보았다.
잘할 수 없는 일에 매달리기보다는자기가 잘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기로 했다.
비트코인카지노 to Million으로 승부를 보기로 한 것이다.
놀랍도록 냉정한 판단이었다.
생각해 보면 그 역시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었다.
남의 비트코인카지노모델을베꼈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으나 이를기꺼이 감수하고
자기가 잘할 수 있는방식으로 비트코인카지노을 만들어내는것이다.
모든 비트코인카지노에는 무한대에 가까운 난이도가 늘 존재하며
베낀 비트코인카지노을 더 크게 키우는 것 역시대단한 일이다.
예전 LG에서 신비트코인카지노을고민하다가과거 혁신사례들을분석한 적이 있었는데
세상을 진정 바꾼 것들은 Zero to 비트코인카지노으로 뭔가를 최초로 만든 회사보다는
오히려따라 만들며 완성도를 높인 제품들이 더 많았다.
컴퓨터 마우스는 1960년대 말 SRI 연구소에서 최초로 만들었지만
1983년 Apple이 컴퓨터에 번들링으로 제공하며 온 세상에 퍼뜨렸다.
휴대폰은 1970년대 초에모토로라가 가장 먼저 만들었지만
20년 뒤 노키아가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한 디자인으로 온 인류의 손에 휴대폰을 쥐어 주었다.
Apple도 한 때 Zero to 비트코인카지노 방식의 혁신을 주도한 적이 있었다.
1993년 Newton MessagePad라는 펜 기반의 PDA를 최초로 만들었다.
1994년 컴퓨터에 SonyTV를 합친TV Computer를 최초로 만들었다.
1998년 저가형 교육 전용노트북인 eMate300을 최초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 시도들은모두 처참한 실패로 돌아갔다.
Apple은 이때의 교훈을 기반으로 삼아
이후에는 기술과 아이디어에 의존해 이 세상에 없던 걸 만들기보다는
기존에 있는 것들을 조합하여 완성도 있는 혁신을 만들어 냈다.
고객들 입장에서 변화를따라올 시간과 여유를 충분히 주었다.
기대치의 점프 없이 고객이 원할 즈음에 그들이 원하는 걸 완벽하게 제공했다.
2001년의 iPod가 그랬고, 2007년의 iPh비트코인카지노이 그랬으며,
2010년의 iPad, 2015년의 Apple Watch, 2016년의 AirPods가 그랬다.
그 누구도 Apple을 Copy Cat이라 욕하지 않는다.
비록 Zero to 비트코인카지노은 아니었지만
비트코인카지노 to Million을 너무 완벽하게 해내서 전 인류의 삶을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생각해 보니 그랬다.
Zero to One인지 비트코인카지노 to Million인지가 뭐 그리 중요할까?
세상에 없던 걸 만들어 고객에게 사랑받을 자신이 있으면 그걸 하면 되는 것이고
세상에 있던 걸 더 잘 만들어 더 많은 고객에게 사랑받을 수 있다면 그걸 하면 된다.
어차피 비즈니스 세계에서의 승부는 고객이 결정한다.
고객이 내는 돈이 내가 만들어낸 가치다.
가치를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
각자 자기가 잘하는 방식으로 가치를 만들면 되는 것이다.